티스토리 뷰

반응형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은 노령, 장애, 사망 등으로 소득을 창출할 능력이 없어졌을 때 국가가 생활 보장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입니다.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납부 금액과 기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액은 달라집니다.

 

국민연금은 일반 민간연금과 비교했을 때에 물가상승률이 반영되고, 재산 압류에 해당되지 않는 등 장점이 많기 때문에 확실히 보전받을 수만 있다면 민간연금에 비해 월등하게 유리한 점이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민연금의 고갈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매달 열심히 국민연금을 납입하고 있는 30~40대의 걱정과 불만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나의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 조기 지급?, 일반 지급?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시기가 다가오는 50 ~ 60대의 경우에도 조기 신청을 해서 받는 것이 나을지 연기가 유리할지 등 30~40대와 고민의 내용은 결이 조금 다르지만 걱정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나의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어떻게 알아보는지 살펴보고, 국민연금 수령이 임박하신 분들에게는 빨리 받는 것이 유리할지?, 아니면 연기하는 것이 나을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민연금 지급시기와 고갈 이슈에 따른 연금 수령의 적절한 시기는?.

평균 수명의 연장과으로 국민연금 수금 연령 기준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69년생부터는 만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고, 수령을 70세까지 연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조기에 수령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은 정기 수령나이인 65세보다 5년 적은 60세입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지급액 5.1% 인상)

 

구분 일반 지급 연령 조기 지급 연령 연기 가능 연령
52년생 이전 60세 55세 65세
53년생 ~ 56년생 61세 56세 66세
57년생 ~ 60년생 62세 57세 67세
61년생 ~ 64년생 63세 58세 68세
65년생 ~ 68년생 64세 59세 69세
69년생 이후 65세 60세 70세

 

국민연금 조기연금으로 신청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있는데, 이 조건에 대해서는 해당 게시글의 중앙 하단 부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수령을 고민하는 연령이라면 55세 이상이신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60세에 연금을 조기에 신청할지, 정상적으로 65세에 받을지, 70세까지 연기할지에 대해서는 절대적 기준이 있지 않습니다.

 

노령연금 수금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은 현재 나의 금전적 상황과 각종 질병 등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제한이 있는 상황 여부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65세 이상이 되어도 약 280만 원 이상의 수입이 매달 있다면 연금을 조기에 받더라도 매달 감액 비율이 산정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연금을 굳이 조기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 ※ 일반적 판단으로, 질병 등 복합적인 상황이 있다면 판단은 또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60세 또는 65세 이상부터 특정한 수입이 없거나 내가 암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조기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거나 각종 재해, 사고 등으로 인해 당장 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조기신청을 하는 것이 안정적인 생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산술적으로만 따져볼 때에는 당연히 조기에 연금을 수금받는 것보다 일반 수금 형태로 지급받는 것이 더욱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매달 100만 원의 연금을 받는다고 할 때 조기 연금으로 받게 되면 매년 누적 상승률을 5%으로 가정하여 반영해 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 조지지급과 일반지급의 비교

 

60세 첫해에는 70% 금액인 70만 원을 매달 받는 것을 시작으로 70세까지는 조기에 받는 것이 더 많은 연금을 수령하게 되지만 71세부터는 일반 지급액이 역전을 하게 되고 그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게 됩니다.

 

조기 지급은 65세부터 받을 금액을 당겨서 받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초반에는 지급 금액이 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누적 상승률이 더해지면서 10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마치 복리의 마법처럼 지급액 격차가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국민연금 (노령연금) 조기 수령을 위한 조건은?

  • 국민연금에 10년 이상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 만 5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국민연금 가입자의 3년 평균소득 보다 작아야 합니다. (이를 A값이라 하고 매년 변동이 있음)

참고로 국민연금 A값이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 간 평균 소득을 의미합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기 위해 이 A값이라는 것을 설정합니다. 올해 A 값은 2,861,091원으로 작년보다 약 7% 증가한 금액입니다. 올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계가 A값보다 작아야 신청 자격요건에 해당됩니다.

① 근로소득 = 총 급여 - 근로소득 공제액
② 사업소득 = 총수입 - 필요경비 

국민연금 (노령연금) 조기 수령 시 위 국민연금 A값을 기준으로 소득이 더 높을 경우 연금지급에 대한 감액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국민연금은 더 이상 생활이 어렵다는 상황을 전제하여 지급하는 취지이다 보니 높은 소득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을 경우 감액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연금 수령 시기에 현재 내가 받고 있는 임금 - 당해연도 국민연금 A값 = 초과 감액 범위에 따른 감액 금액 결정
 1) 100만 원 ~ 199만 원 : 약 5만 원 내외
 2) 200만 원 ~ 299만 원 : 약 15만 원 내외
 3) 300만 원 ~ 399만 원 : 약 30만 원 내외
 4) 400만 원 ~ 499만 원 : 약 50만 원 내외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알아보는 방법.

국민연금 홈페이지를 통해서 나의 예상 연금 수령액을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모의계산 형식으로 예상 연금을 조회하는 것은 별도의 로그인과 인증 없이 할 수 있으나, 연금을 수령받기 위해 현재의 정확한 수령액을 확인하고 신청하기 위해서는 개인 인증 및 로그인 후 연금신청을 조회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아직 국민연금 조기 지급 신청 또는 일반 지급 신청에 해당되지 않는 다면 미리 내가 받게 될 예상 연금을 조회하여 재무계획을 세워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클릭 후  

국민연금 최초 가입일, 소득정보, 예상 소득 상승률 등을 입력하면 지급받게 될 연금 금액의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C, 모바일 앱 모두 활용 가능)

내 연금 알아보기 바로가기 (Click!)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 예상연금 모의계산 클릭!

 

단, 소득상승률을 임의로 입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노령연금액과는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살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국민연금 (노령연금) 청구는 전국 단위의 국민연금공단 지사 어디에서나 청구가 가능하고, 주소지 관할 읍, 면, 동사무소에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내방 청구를 하신다면 사전에 ARS 1355로 상담 후 신청 하시는 것이 정확도를 높여줍니다.)

 

신청할 때에는 수급권자가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나 법정 대리인에 한하여 대리 청구도 가능합니다.

단, 대리인 청구는 내방 청구일 때에만 가능하고 인터넷 청구는 불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노령연금) 신청 시 구비서류

  • 노령연금지급청구서
  • 신분증
  • 혼인관계증명서 (상세)
  • 수급권자 예금 계좌 (통장사본)

지금까지 국민연금 수령액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국민연금 신청 대상자이신 분들은 조기신청에 대해서 잘 고민해 보시기 바라며, 나의 국민연금 예상액 조회를 통해 모두 성공적인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